단과

기본, 심화 경위/경사, 경감 형법 신광은 교수

Best New 추천강좌 완강

[경찰승진 기본+심화] 2026년 대비 신광은의 형법 [총론] 올인원 이론완성 (25년 2월)

강의수 : 50강 / 50강 수강기간 : 100일

강좌

[경찰승진 기본+심화] 2026년 대비 신광은의 형법 [총론] 올인원 이론완성 (25년 2월)

268,000

교재
  • 주교재 - 2025 신광은 형법총론 기본서

    26,100

총 주문금액 0

강좌정보

강좌유의사항필독

※ 26년 대비 신광은의 형법 총론 올인원 이론완성​ 강좌는 형사소송법 강의 이후 업로드 될 예정입니다.

※ 교재: 신광은 형법[총론] 기본서

 

※ 죄수론 파트는 4월 말 진행될 예정으로 진행되는대로 추가 업로드 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강좌소개

◎​ 형법 총론 기본이론 완성

 

◎ 사례 중심 설명으로 쉽게 이해하고 자연스럽게 암기 가능

 

◎ 전날 수업에서 핵심 내용을 다시 복습하는 요약 설명과 기출 지문으로 이루어진 복습 문제를 통해 기본기 다지기​​ ​    

강좌특징

◎​ 노량진의 전설, 형사법의 神, 신광은 교수님의 직강


- 수사 1위, 형사소송법 1위, 형법 1위에 이은 형사법 1위를 견고히 지키고 있는 신광은 교수님의 직강입니다.
 

◎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명품 강의

- 기초 개념부터 차근차근 접근하므로 법과목에 생소한 수험생이라도 아주 쉽게 형법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이제 막 경찰 시험을 준비하려는 수험생, 형법의 기초가 부족한 수험생, 형법의 실력을 한 단계 끌어올리길 바라는 수험생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강의입니다. 

어려운 부분에 대해서는 다양한 사례를 통하여 입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암기 분량이 많은 부분은 재밌는 두문자로 간략하게 정리할 수 있도록 하여 수험생들이 형법에 쉽게 다가갈 수 있도록 도와드립니다.

또한 교수님의 콤팩트한 강의는 수험생들이 형법의 재미를 느끼며 한단계 한단계 실력을 쌓아 합격권에 들어갈 수 있도록 이끌어드립니다.


◎ 형사법 실무에 정통한 강의

- 신광은 교수님께서는 경찰대학을 졸업하고 경찰에 근무하면서 사법시험에 합격하여

경찰실무, 검찰실무, 법원실무, 변호사실무 등 형사법 모든 실무에 정통한 실력파 교수님이십니다.

다양한 실무경험을 바탕으로 한 교수님의 깊이 있고 재미있는 강의는 여러분들을 지금껏 듣지 못한 새로운 강의의 세계로 이끌 것입니다. 


◎ ​저절로 실력이 쌓이는 강의 프로그램

- 수업을 마치기 전 10분 동안 간략하게 배운 내용들을 복습하여 2회독의 효과를 낼 수 있는 강의입니다.
또한 다음 날에 간단한 문제 설문을 통하여 복습하게 함으로써 전날 배운 내용을 돌아볼 수 있습니다.

더 나아가 데일리, 위클리 테스트를 통하여 배운 내용을 자신의 것으로 만들 수 있도록 최대한 여러분을 돕고 있습니다.

◎ 기본서 하나로 충분히 대비 가능한 수험 최적합 교재

- 최고의 적중률을 자랑하는 신광은 교수님의 형사법 시리즈(수사, 증거, 형법각론, 형법총론)는 많은 수험생들이 애용하고 있는 필독서입니다.

- 최근까지의 개정된 법령과 규칙은 물론, 기출된 법조문과 규칙, 그리고 출제 가능한 중요한 법령까지 모두 반영해 법령을 별도로 보지 않아도 충분히 대비 가능합니다.

- 개편 전 기존 경찰채용, 승진 등의 기출지문은 물론 법원직·검찰사무직·교정직·보호직·소방직 등의 기출지문을 완벽하게 반영하였습니다.

- 전 직렬 출제된 모든 판례와 올해 새롭게 변경·추가된 최신판례부터 시험에 출제될 가능성 높은 판례까지 빠짐없이 보충하여 별도의 판례집 없이 기본서만으로 충분히 대비 가능합니다.

- 중요한 부분과 틀리기 쉬운 부분이 한눈에 보이도록 (Tip), (Check) 등으로 표시해 출제경향을 파악하고 문제에 대한 적응력을 높일 수 있게 하였습니다.

- 교재를 전부 읽지 않아도 주요 내용을 알 수 있도록 굵기, 색상 등으로 표시해 적은 시간을 투자해 보다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공부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 

수강대상

1. 경찰/경찰간부/경찰승진/해양경찰/법원직/겸찰직 등 형사법·형법·형사소송법 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초시생 필수강)

2. 형법 기본 이론을 쉽게 이해하고 체계적을 정리하고 싶은 수험생​​ ​​ 

교재정보

  • 2025 신광은 형법총론 기본서

    분야 : 형법 저자 : 신광은 출판사 : 느루 판형/쪽수 : 190×260 / 456

    출판일 : 2024-05-10 교재비 : 판매중 29,000원(10%↓) 26,100원

     

     

    교재의 특징

    - 20241차 전 직렬 최신 기출문제, 판례 모두 반영

    - 체계적이고 정확한 형법공부를 위한 최고의 기본서

    - 이론/학설/조문/판례 최신 경향 완벽 반영

     

    머리말

     

    신광은 형법총론 개정판을 출간하면서...

    먼저 신광은 형법총론을 명실공히 최고의 수험서로서 자리 잡게 해준 많은 수험생들의 애정과 아낌없는 응원에 진심으로 감사의 인사를 전합니다.

    신광은 형법총론 출간한 이후 신광은 형법총론에 많은 응원과 박수를 보내주었던 수험생들의 애정에 보답하고 그 기대에 부끄럽지 않은 조력자로서 수험생들의 합격에 밑거름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번 개정판에서도 수험시간과 노력 대비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노력했고, 특히 형법 공부는 기초와 체계가 가장 중요하므로 체계적이고 정확한 이해를 위해서 꼭 필요한 중요설문과 판례를 빠짐없이 수록하였습니다.

    신광은 형법총론 개정판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교재의 핵심내용을 강조함으로써 학습효과 증진 및 시간부족의 문제점 해결

    교재를 보면서 특히 중요한 부분과 덜 중요한 부분을 구분하여 공부할 수 있도록 핵심내용을 중요도에 따라 색상을 넣거나 굵은 글씨로 처리하여 강조함으로써 빠른 시간 안에 주요 내용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하였습니다. 이는 교재를 전부 읽지 않아도 주요 내용을 알 수 있게 하는 방법으로 적은 시간을 투자하여 보다 신속하고 효과적인 공부를 함으로써 수험생들에게 중요한 절대적인 시간 부족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였습니다.

    반드시 보아야 하는 중요내용은 칼라로 표시하고, 다음으로 중요한 내용은 굵게 처리를 하여 교재 내용의 중요도를 체크하고 표시된 내용만 봐도 주요 핵심을 모두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2. 전 직렬의 최근 기출지문 완벽 반영

    근에 시행된 24년 순경1, 경찰승진, 경찰간부, 해경승진, 해경간부, 23년 순경2, 해경3, 법원직, 7급국가직, 법학특채 등 최신기출지문을 포함하여 최근기출지문을 완벽하게 반영하였습니다. 또한 시험출제 경향에 맞추어 변호사시험·법원행시 등의 기출지문을 반영함으로써 앞으로의 24년과 25년 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에게 적합한 교재가 되도록 노력하였습니다.

    3. 최신판례와 기출판례 완벽 반영

    최근에 시행된 시험을 비롯하여 전 직렬의 시험에 출제된 모든 판례와 올해 새롭게 변경되거나 추가된 최신판례, 그리고 시험에 출제될 가능성이 있는 판례까지 빠짐없이 보충하여 별도의 판례집 없이 기본서만으로 충분히 시험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4. 기출지문과 중요설문 아이콘 표시로 출제경향 파악 및 문제적응력 향상

    주요 기출지문과 중요설문 및 키워드는 [TiP]으로, 함정에 빠지기 쉬운 지문과 키워드는  [주의] 등으로 표시해서 중요한 부분과 틀리기 쉬운 부분이 어디인지 한눈에 보이도록 하여 출제경향을 파악하고 문제에 대한 적응력을 높일 수 있게 하였습니다.

     

    5. 교재의 핵심내용을 강조함으로써 학습효과 증진 및 시간부족의 문제점 해결

    신광은 형법총론 개정판교재의 단권화를 통한 공부방법이 필자가 강조하는 것인 만큼 이번에도 그 취지를 살려 별도의 판례집이나 문제집을 보지 않고도 본 교재 한권만으로도 충분히 시험에 대비할 수 있도록 주요 판례, 중요 설문 등 시험에 꼭 필요하고 중요한 내용을 빠짐없이 수록하고자 노력하였습니다.

    동안 신광은 형사법 교재 출간에 앞서 아낌없는 애정과 조언을 해 준 많은 수험생들에게 진심으로 감사의 인사를 전하며, 모쪼록 본서를 통해 수험생들이 형사법에서 만점의 성과를 거둘 수 있기를 기원합니다.

    더불어 수험준비로 힘든 생활 속에서도 건강 잃지 않기를 바라며, 성실하고 능력 있는 공무원이 되고자 하는 자신의 꿈을 이룰 수 있기를 희망합니다.

     

    Bravo your life!!

    편저자 신광은

     

     

     

    close

    목차

     

    1서 론

     

    1 형법의 기본개념 3

    1 형법의 의의 3

    . 형법의 개념 3

    . 형식적 의미의 형법과 실질적 의미의 형법 3

    2 형법의 지위와 성격 3

    . 형법의 법체계적 지위 3

    . 형법의 성격 3

    3 형법의 기능 4

    . 형법의 기능 4

    . 위험형법 5

    2 형법이론 6

    1 범죄이론 6

    2 형벌이론 7

    3 형법학파 8

    4 범죄체계론 8

    3 죄형법정주의 10

    1 의의 및 기능 10

    2 죄형법정주의의 내용 10

    . 법률주의(성문법률주의, 관습형법금지의 원칙) 11

    . 명확성의 원칙 16

    . 적정성의 원칙 20

    . 유추해석금지의 원칙 22

    . 소급효금지의 원칙(소급입법 금지의 원칙) 46

     

     

    4 형법의 적용범위 53

    1 시간적 적용범위 53

    . 행위시법주의와 재판시법주의 53

    . 1조 제1(구법 적용, 행위시법 적용, 추급효 인정) 53

    . 1조 제2(신법 적용, 재판시법 적용, 소급효 인정) 54

    . 1조 제3 59

    . 1조 제2항과 제3항의 적용배제 59

    . 한시법 61

    . 백지형법 62

    2 장소적 적용범위 62

    . 입법주의 62

    . 속지주의 원칙 62

    . 속인주의에 의한 보충 64

    . 보호주의에 의한 보충 65

    . 세계주의 67

    . 외국에서 받은 형 집행의 효력 67

    3 인적 적용범위 69

    . 원칙 69

    . 인적 적용범위의 예외 69

    4 형법 총칙의 적용범위 70

     

     

    2범죄론

     

    1 범죄론의 기초 73

    1 범죄의 의의와 구성요소73

    . 범죄의 의의 73

    . 형식적 범죄개념의 구성요소 73

    2범죄의 성립요건 73

    . 범죄의 성립요건 73

    3 처벌조건과 소추조건 75

    . 처벌조건 75

    . 소추조건(소송조건) 76

    4 범죄의 종류 76

    2 행위론 81

    1 행위론의 의의 및 기능 81

    . 의의 81

    . 기능 81

    2 행위론 81

    . 행위론의 종류 81

    . 형법상의 행위 82

    3 구성요건론 83

    1 구성요건의 일반이론 83

    . 구성요건의 의의 83

    . 구성요건과 위법성의 관계 83

    . 구성요건의 요소 85

    . 구성요건의 분류 85

    2행위의 주체(법인의 범죄능력) 86

    . 행위의 주체 86

    . 법인의 범죄능력 86

    . 법인의 형벌능력 87

    . 양벌규정 88

    3행위의 객체와 보호의 객체 94

    . 행위의 객체 94

    . 보호의 객체 94

    . 구별 94

    4 부작위범 95

    . 의의 95

    . 진정부작위범과 부진정부작위범 97

    . 부작위범의 성립요건 98

    . 부진정부작위범의 동가치성 99

    . 관련문제 106

    5 인과관계와 객관적 귀109

    . 인과관계의 의의 109

    . 인과관계에 관한 학설 109

    . 객관적 귀속이론(합법칙적 조건설) 111

    . 인과관계의 유형(합법칙적 조건설과 객관적 귀속이론)112

    . 인과관계 인정여부(판례) 112

    6 구성요건적 고의 120

    . 서설 120

    . 고의의 체계적 지위 120

    . 고의의 존재시기와 증명 121

    . 고의의 내용 121

    . 고의의 종류 124

    . 고의 인정 여부(판례) 125

    7 구성요건적 착오 128

    . 형법상 착오의 의의 128

    . 구성요건적 착오의 의의 및 적용영역 128

    . 구성요건적 착오의 유형 129

    . 구성요건적 착오에 대한 형법 규정 (15조 제1) 130

    . 15조 제1항이 적용되지 않는 경우의 해결(부합설) 131

    . 관련 문제 136

    8 과실범 139

    . 의의 139

    . 과실의 종류 140

    . 과실범의 구성요건 143

    . 객관적 주의의무의 제한원리 149

    . 위법성과 책임 155

    . 관련문제 155

    9 결과적 가중범 156

    . 서설 156

    . 결과적 가중범의 성립요건 157

    . 진정결과적 가중범과 부진정결과적 가중범 (종류) 160

    . 부진정결과적 가중범의 죄수 161

    . 관련문제 162

    4 위법성론 165

    1 위법성의 일반이론 165

    2 불법 166

    . 결과반가치와 행위반가치(결과불법과 행위불법) 166

    . 불법의 본질 167

    3 위법성의 조각사유 168

    . 위법성 조각사유 168

    . 주관적 정당화요소의 필요성 168

    . 주관적 정당화요소를 결한 경우의 효과(고의 우연방위) 169

    . 주관적 정당화요소를 결한 경우의 효과(과실 우연방위) 171

    4 정당방위 172

    . 의의 172

    . 근거 172

    . 성립요건 173

    . 과잉방위 181

    . 오상방위와 오상과잉방위 183

    5 긴급피난 184

    . 의의 및 근거 184

    . 긴급피난의 본질 184

    . 긴급피난의 성립요건 186

    . 긴급피난의 특칙(제한) 189

    . 과잉피난과 오상피난 190

    . 의무의 충돌 190

    6 자구행위 192

    . 의의 192

    . 성립요건 192

    . 과잉자구행위와 오상자구행위 195

    7 피해자의 승낙 196

    . 의의 196

    . 양해(구성요건 조각) 196

    . 피해자의 승낙 198

    . 추정적 승낙 200

    8 정당행위 202

    . 의의 202

    . 법령에 의한 행위 202

    . 업무로 인한 행위 208

    . 타 사회상규에 위배되지 않는 행위 209

    5 책임론 218

    1 책임이론 218

    . 책임과 책임주의 218

    . 책임의 근거 219

    . 책임의 본질 220

    2 책임능력 222

    . 의의 222

    . 책임능력의 규정방법 222

    . 책임 무능력자(형사미성년자와 심신상실자) 222

    . 한정책임능력자(심신미약자와 농아) 228

    . 특별법의 제한 229

    3원인에 있어서 자유로운 행위 230

    . 의의 230

    . 문제의 소재(책임주의와의 관계) 230

    . 가벌성의 이론 구성 231

    . 형법 제10조 제3항의 해석 232

    . 유형 233

    4 위법성의 인식 234

    . 의의 234

    . 위법성 인식의 체계적 지위 235

    5법률의 착오(금지착오) 237

    . 의의 237

    . 법률의 착오의 유형 237

    . 16조의 해석 238

    . 위법성조각사유의 전제사실에 대한 착오 247

    6 기대가능성 252

    . 의의 252

    . 기대가능성의 지위와 기능 252

    . 기대가능성의 판단기준 253

    . 기대불가능성으로 인한 책임조각사유 255

    . 강요된 행위 256

    6 미수론 259

    1 미수범의 일반이론 259

    . 범죄의 실현단계 259

    . 미수범의 처벌근거 259

    2 예비·음모죄 260

    . 의의 260

    . 법적 성격과 실행행위성 260

    . 성립요건 262

    . 관련문제 264

    3 장애미수 265

    . 의의 265

    . 성립요건 265

    . 처벌 270

    . 관련문제 272

    4 중지미수 273

    . 의의 273

    . 법적 성격(필요적 감면의 근거) 273

    . 중지미수의 성립요건 273

    . 중지미수의 처벌 277

    . 관련문제 277

    5 불능미수 279

    . 의의 279

    . 성립요건 280

    . 불능미수의 처벌 285

    . 관련문제 286

    7 공범론 287

    1 공범의 일반이론 287

    . 범죄참가형태 287

    . 필요적 공범 288

    . 임의적 공범 291

    2 공동정범 296

    . 의의 296

    . 공동정범의 본질(공동의 의미) 297

    . 성립요건 297

    . 공동실행의 의사 관련 문제 301

    . 공동의 실행행위 관련 문제 306

    . 공동정범의 처벌 311

    3 합동범과 동시범 313

    . 합동범 313

    . 동시범 315

    4 간접정범 320

    . 의의 320

    . 성립요건 320

    . 처벌 323

    . 간접정범과 착오 323

    . 간접정범의 한계 323

    . 특수교사·방조 325

    5 교사범 326

    . 의의 326

    . 성립요건 326

    . 교사범의 처벌 331

    . 교사의 미수 332

    . 교사의 착오 333

    6 종범(방조범) 335

    . 의의 335

    . 성립요건 335

    . 종범의 처벌 342

    . 종범의 착오 343

    . 관련문제 344

    7 공범과 신분 345

    . 의의 345

    . 신분의 의의와 종류 345

    . 33조의 해석 346

    . 33조의 적용 347

    . 33조 적용 효과 349

    . 소극적 신분과 공범 352

     

     

    3죄수와 형벌론

     

    1 죄수론 357

    1 죄수의 일반이론 357

    . 죄수론의 의의 357

    . 죄수결정의 기준 357

    2 일죄 360

    . 의의 360

    . 법조경합 360

    . 포괄일죄 369

    3 수죄 382

    . 상상적 경합 382

    . 실체적 경합 393

    2 형벌론 401

    1 형벌의 의의와 종류 401

    . 의의 401

    . 사형 401

    . 자유형 402

    . 명예형 403

    . 재산형(벌금·과료·몰수) 404

    . 형의 경중 417

    2 형의 양정 418

    . 의의 418

    . 형의 가중·감경 418

    . 형의 가감례 420

    . 양형(형의 양정) 422

    3 형의 면제 422

    4판결선고 전 구금과 판결의 공시 423

    5 자수와 자복 424

    . 의의 424

    . 시기와 방법 424

    6 누범 426

    . 의의 426

    . 누범가중과 책임주의 426

    . 누범 가중 요건 427

    . 누범의 효과 430

    . 판결선고 후의 누범 발각(36) 430

    .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상 누범 430

    7 선고유예 431

    . 의의 431

    . 선고유예의 요건 431

    . 선고유예의 효과 433

    . 선고유예의 실효 434

    8 집행유예 435

    . 의의 435

    . 집행유예의 요건 435

    . 집행유예의 효과 437

    . 집행유예의 실효와 취소 439

    9 가석방 440

    . 의의 440

    . 가석방의 요건 440

    . 가석방의 효과 441

    . 실효와 취소 442

    10 형의 시효·소멸·기간 443

    . 형의 시효 443

    . 형의 소멸 444

    . 형의 기간 445

    11 보안처분 446

    . 의의 446

    . 형벌과의 구별 446

    . 보안처분의 종류 446

    . 형벌과의 관계 447

    . 현행법상 보안처분 447

     

    close

강의목차

강의 목차
No 제목 무료보기 자료 강의시간
1강 [250109_01] 형사법 개관 1 강의시간 58분
2강 [250109_02] 형사법 개관 2 강의시간 47분
3강 [250109_03] 형사법 개관 3 강의시간 41분
4강 [250109_04] 형사법 개관 4 강의시간 60분
5강 [250221_01] 01강 제1절 형법의 의의 p3~10 강의시간 44분
6강 [250221_02] 02강 제2절 죄형법정주의의 내용 p10~25 강의시간 65분
7강 [250221_03] 03강 OX01 01번ㅣ4. 유추해석금지원칙 위배 여부 p26~34 강의시간 52분
8강 [250221_04] 04강 OX01 32번ㅣ관련판례) 총포·도검·화약류 등 단속법 p34~45 강의시간 47분
9강 [250222_01] 05강 OX01 43번ㅣV. 소급효금지의 원칙(소급입법 금지의원칙) p46~52 강의시간 71분
10강 [250222_02] 06강 OX02 01번ㅣ제1절 시간적 적용범위 p53~58 강의시간 55분
11강 [250222_03] 07강 OX02 09번ㅣ관련판례) 개정 전후로 분리되는 경우 ②(구성요건신설) p58~64 강의시간 53분
12강 [250222_04] 08강 OX02 16번ㅣIV. 보호주의에 의한 보충 p65~77 강의시간 70분
13강 [250224_01] 09강 OX02 24번ㅣ2. 침해범과 위험범(법익침해 정도) p77~83 강의시간 65분
14강 [250224_02] 10강 OX03 01번ㅣ2. 소극적 구성요건표지이론 p83~89 강의시간 63분
15강 [250224_03] 11강 OX03 09번ㅣ관련판례. 종업원의 처벌과 법인의 처벌은 별개의 책임 p89~94 강의시간 53분
16강 [250224_04] 12강 OX03 12번ㅣ제4절 부작위범 p95~98 강의시간 59분
17강 [250225_01] 13강 2. 실질설(범죄의 내용과 성질을 기준) p98~101 강의시간 69분
18강 [250225_02] 14강 OX04 01번ㅣ(4) 체계적 지위 p101~112 강의시간 68분
19강 [250225_03] 15강 OX04 09번ㅣV. 인과관계 인정여부(판례) p112~119 강의시간 58분
20강 [250225_04] 16강 OX04 14번ㅣ관련판례) 규범의 보호목적 이론 p119~127 강의시간 48분
21강 [250226_01] 17강 OX05 01번ㅣ제7절 구성요건적 착오 p128~133 강의시간 61분
22강 [250226_02] 18강 3. 구체적 부합설 p133~143 강의시간 58분
23강 [250226_03] 19강 OX05 09번ㅣ(2) 주의의무의 판단기준 p143~152 강의시간 61분
24강 [250226_04] 20강 OX05 20번ㅣ(3) 의료분야와 신뢰의 원칙 p153~159 강의시간 54분
25강 [250227_01] 21강 OX05 26번ㅣIII. 진정결과적 가중범과 부진정결과적 가중범(종류) p160~165 강의시간 76분
26강 [250227_02] 22강 OX05 35번ㅣ제2절 불법 p166~178 강의시간 64분
27강 [250227_03] 23강 OX06 01번ㅣ4. 상당한 이유 p179~185 강의시간 50분
28강 [250227_04] 24강 OX06 13번ㅣIII. 긴급피난의 성립요건 p186~199 강의시간 47분
29강 [250228_01] 25강 OX06 19번ㅣ(3) 상당성(사회상규에 위배되지 않을 것) p199~207 강의시간 63분
30강 [250228_02] 26강 OX06 27번ㅣ5. 사인의 현행범 체포 p207~221 강의시간 64분
31강 [250228_03] 27강 OX06 33번ㅣ제2절 책임능력 p222~231 강의시간 64분
32강 [250228_04] 28강 OX07 01번ㅣ3. 반무의식상태설 p232~239 강의시간 43분
33강 [250305_01] 29강 OX07 11번ㅣ3. 오인에 정당한 이유가 있는 때 p239~247 강의시간 65분
34강 [250305_02] 30강 OX07 16번ㅣIV. 위법성 조각사유의 전제사실에 대한 착오 p247~250 강의시간 60분
35강 [250305_03] 31강 OX07 25번ㅣ4. 대법원의 입장 p251~264 강의시간 59분
36강 [250305_04] 32강 OX07 29번ㅣ제3절 장애미수 p265~278 강의시간 54분
37강 [250306_01] 33강 OX08 06번ㅣ제5절 불능미수 p279~286 강의시간 58분
38강 [250306_02] 34강 OX08 16번ㅣ제1절 공범의 일반이론 p287~291 강의시간 69분
39강 [250306_03] 35강 OX09 01번ㅣIII. 임의적 공범 p291~299 강의시간 49분
40강 [250306_04] 36강 OX09 04번ㅣ2. 공동의 실행행위 p300~312 강의시간 51분
41강 [250307_01] 37강 OX09 08번ㅣ제3절 합동범과 동시범 p313~319 강의시간 67분
42강 [250307_02] 38강 OX09 16번ㅣ제4절 간접정범 p320~331 강의시간 69분
43강 [250307_03] 39강 OX09 21번ㅣIV. 교사의 미수 p332~351 강의시간 95분
44강 [250308_01] 40강 OX09 30번ㅣ제7절 공범과 신분 p345~353 강의시간 72분
45강 [250308_02] 41강 OX10 04번ㅣ제1절 형벌의 의의와 종류 p401~411 강의시간 60분
46강 [250308_03] 42강 OX11 01번ㅣ3. 추징·폐기 p412~426 강의시간 58분
47강 [250308_04] 43강 OX11 08번ㅣ제6절 누범 p426~447 강의시간 84분
48강 [250502_01] 44강 01. 죄수론 p357~375 강의시간 78분
49강 [250502_02] 45강 OX 12회 01번 | 3. 집합범 p375~388 강의시간 50분
50강 [250502_03] 46강 OX 12회 10번 | 관련판례. 비교판례(음주운전과 무면허운전은 날마다 일죄) p386~400 -종강- 강의시간 74분

수강후기

0

0

수강 후기
NO 평점 제목 작성자 등록일 조회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