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공무원, 왜 인기인가?

  • 학력,경력
    NO
  • 매년 정기적 채용!
    차별없는 공정한 시험
  • 60세까지 보장되는
    확실한 정년보장
  • 사회적인 가치와 보상감
  • 정의와 권리 보호
  • 다양한 경력과 전문성
  • 도전과 스릴
  • 사회적 안정성과 일자리 보장

1

경찰공무원으로서의 삶의 장단점을 모두 알아보자

01 업무를 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특성 무엇입니까?

02 경찰공무원의 장점은 무엇일까요?

직업의 안정성과 연금
  • 실형을 선고받지 않았을 때 60세까지 정년
  • 퇴직이후 퇴직수당과 연금 지급
적성에 맞는 부서근무
  • 내근직인 경우 경무,생활안전, 112상황실 등 정적인 업무을 원하는 부서에서 근무가능
  • 외근직인 경우 형사, 지구대와 같은 활동적인 활동을 원하는 부서에서 근무가능
봉급과 수당혜택
  • 특수직으로 인하여 초과수당,위험수당, 112출동수당, 휴일수당 등 특수수당 지급
전국 어디에서나 근무가능
  • 전국 어디에서든지 근무 가능
  • 자신이 근무하고 싶은 곳으로 전보신청 시 대체적으로 3년 정도면 이동 가능
인사이동 주기와 전출입 자유
  • 정기인사 기간(매년 1월, 7월) 동안, 본인이 원하는 다른 부서로 이동 가능

03 경찰공무원의 단점은 무엇일까요?

높은 스트레스와 심리적 압박
  • 내근직이 아닌 외근직인 경우, 교대 근무로 인한 불규칙한 수면 패턴
  • 폭력 사건 현장, 변사사건, 안전사고 현장을 접하면서 들어오는 심리적 스트레스
불규칙적인 근무시간
  • 주말, 공휴일, 명절에도 근무 (24시간 비상근무태세)
조직 내부 정치적 갈등
  • 협력이 상당히 중요한데, 내부적인 갈등으로 인하여 협력심 저하 발생
  • 부서간의 갈등이나 경쟁 심화
사회적 비난과 편견
  • 특정 사건이나 사고 발생 시 경찰의 대응에 따라 비난과 비판이 존재
진급 경쟁의 치열함
  • 10단계 계급구조로 인하여 승진 경쟁 치열

2

공무원을 가리켜 ‘철밥통’이네 하며 주의 사람들로부터 시기 어린 핀잔을
듣기 마련이다. 하지만 그들에게도 고충은 있는법. 오히려 그런 시선 때문에
남들에게는 말 못하고 속으로만 쌓아놓은 속 이야기를 살펴보자
경찰공무원의 75%가 수면시간이 8시간이 안된다고 한다.

전직, 현직 경찰공무원의 공통적으로 힘들었던 부분으로 꼽았던 부분은 밤을 새우는 것이었다. 친구의 경우 주야비휴로 근무가 돌아가는데 2주에 3일은 야간근무로 밤을 새워야 하는 상황이 온다. 평일을 빡세게 일하고 놀기 삼아 편하게 맥주를 까면서 노는 느낌의 밤샘이 아니라는 것. 어쩌다 한 번도 밤을 새우는 것은 쉽지가 않은데, 일상이 된다는 말이다.

사람과 사람 사이에서 샌드위치 감정노동이 심하다
(좋든 싫든 들어야한다.매일)

신고자는 신고자 나름대로의 입장이 있고, 신고를 당한 사람은 당한 사람대로의 입장을 다 들어줘야 한다는 뜻이다. 쉬운 예를 들어보자면 골목길이 많은 빌라촌의 주차문제가 있다. 보통 빌라촌은 주차공간이 매우 부족해서 심한 곳은 자동차 3대 정도가 나란히 세워지는 골목에 양쪽으로 불법 주차가 되어 있어서, 한대만 지나다닐 수 있는 곳도 많다. 그렇게 되면 양쪽 자동차 중에서 한대만 삐져나와도 주체문제로 이어진다. 즉 좁아서 어쩔 수 없다 vs 더 옆으로 바짝 주차해라. 구도가 된다. 근데 이걸 주차공간이 부족한 지역 탓이고 딱히 그 사람들 사이에서 누가 잘했니 못했나 따지기도 애매한 문제라 결국은 둘을 잘 토닥거리는 수 밖에 없다. 이렇게 햄버거 사이에 패티, 샌드위치가 되는 상황이 된다.

대부분 비정상적인 사람을 상대하는 직업이다.
(아무래도 밤에 근무가 있으면 취객과 많이 부딪힌다.)

아무래도 야간 근무에는 술 먹고 취한 비정상적인 사람을 상대하게 된다. 2주에 3번은 야간근무가 돌아오는데 그때마다 비정상적인 사람을 상대해야 한다는 뜻이다. 친구에게 들었던 상황 중에는 마스크를 안 써서 신고당한 사람이 오히려 난동을 피워서 골치가 아팠었다.라는 일화도 있었다. 대표적인 것이 이런 부분을 많이 얘기하시는 것을 알게 되었다.

사건 현장에서부터 오는 극심한 스트레스와 높은 업무 강도로 정신건강에 큰 위협을 받고 있다.

업무강도에 대한 이야기도 꽤 많았습니다. 자동차에 오래타고 있으면 가만히 있어도 휴식이 아니잖아요? 경찰공무원 직업의 특성상 순마를 타고 나가서 근무를 서게 되면 차에서 보내는 시간도 길고, 사람들의 눈치도 보게 된다는 점도 있었습니다. 몸은 그냥 앉아있지만, 쉰다고 표현하기는 힘들지요.

1

설명했다시피 이렇게 위험이 도사리고 있을 뿐 아니라
책임감이 무척이나 필요한 직렬임에도 불구하고 왜 많은 수험생들은
경찰공무원을 희망하고 있는 걸까요?
경찰, 힘들지만… 그래도 인기있는 이유가 뭘까?
1 점점 더 심해지는 취업난
취업이 하늘의 별따기라는 말이 옛말이 아닌 요즘, 경기불황이 계속되면서 사상 최대의 취업난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런 취업난 속에서 신분이 보장되는 안정된 직장인 공무원 직종에 대한 인기는 갈수록 높아질 수 밖에 없겠죠. 안정적이고 복리후생까지도 기대할 수 있는 직장이다보니 더욱 더 늘어나고 있는 추세입니다.
2다양한 분야에서 커리어 개발 가능
경찰이라고 모두 같은 업무를 하는 건 아닙니다. 형사, 교통, 사이버수사, 외사, 경찰특공대 등 본인의 성향과 적성에 맞는 부서에서 전문성을 쌓을 수 있는 기회가 많습니다. 다양한 경험을 통해 자기 계발과 커리어 확장이 가능하다는 것도 큰 장점입니다.
3공평한 기회
학력, 스펙보다 오직 실력으로만 평가되는 직무로, 경력, 성별, 학력 등 상관없이 누구나 응시가능하고 차별없는 공정한 시험으로 채용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많은 분들이 공무원의 꿈을 꾸게 되는 추세입니다.
직업으로서 경찰공무원의 장점은?
그럼 실제로 경찰공무원으로 일을 시작하게 되면 어떤 점이 구체적으로 좋을까요? 경찰관으로 임명되면 처음에는 경찰서 혹은 지구대에서 일정 기간  근무를 한 뒤, 교통경찰관이나 수사형사 등으로 근무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본청 지방청 및 경찰서나 파출소에서 가장 기본적인 임무 즉, 국민의 생명 신체 및 재산의 보호와 범죄 예방과 진압, 수사와 교통 단속 및 기타 공공의 안녕과 질서 유지를 목적으로 하는 업무에 종사하게 됩니다. 위 직무를 일정 기간 종사하고 나면 교통경찰관이 수사형사 등 경과별로 근무할 기회가 주어지게 되고, 그 후 자동으로 또는 시험을 통해 승진을 할 수 있다는 큰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일정 기간 근무하면 승진할수 있는 기회가 확실하게 보장되어 있을 뿐 아니라 철저하게 신분 보상이 가능한 안전한 직업이라는 것이 경찰공무원의 가장 큰 장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국민의 민생안정과 치안을 위해서 열심히 일하는 경찰에게
경찰 복리후생 제도가 있습니다.
    • 자녀 학자금 보조
    • ∙ 자녀 중 ∙고등학교 학자금 전액 보조
    • ∙ 자녀 대학교 학자금 무이자 대출
    • 주거복지
    • ∙ 임대 주택 / 관사 제공 (일부 지방 근무 시 제공)
    • ∙ 주택자금대출 (저금리 대출지원)
    • 연금제도
    • ∙ 공무원 연금과 동일한 노후연금
    • ∙ 퇴직수당
    • 육아휴직제도
    • ∙ 한 자녀당 최대 3년까지 육아 휴직 사용
    • 경찰공무원 복지카드
    • ∙ 공무원 연금과 동일한 노후연금
    • ∙ 퇴직수당
    • 국립경찰병원 무료 이용
    • ∙ 가족도 병원 이용 할인 혜택 적용

※ 복지 제도는 경찰 공무원이 일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돕고, 가족에게도 안정적인 삶을 제공하는 데 기여합니다. 경찰 공무원으로 변호사, 의사들과 마찬가지로 안정된 직장생활을 하고자 하는 분들에게 큰 매력을 느끼게 합니다. 이러한 혜택들은 경찰직의 장기적인 매력을 높이는 데 큰 몫을 하게 됩니다.

1

경찰공무원 · 소방공무원 및 의무경찰 등의 봉급표 (2025년)

(월지급액,단위:원)

<비고> 1.경찰대학생: 1학년 1,215,000원, 2학년 1,350,000원, 3학년 1,500,000원, 4학년 1,650,000원 2.경찰간부후보생 및 소방간부후보생: 임용예정 계급의 1호봉에 해당하는 봉급의 80퍼센트에 상당하는 금액 3.의무소방원: 특방은 지원에 의하지 않고 임용된 하사 봉급 상당액, 수방은 병장 봉급 상당액, 상방은 상등병 봉급 상당액, 일방은 일등병 봉급 상당액, 이방은 이등병 봉급 상당액 4.의무경찰: 특경은 지원에 의하지 않고 임용된 하사 봉급 상당액, 수경은 병장 봉급 상당액, 상경은 상등병 봉급상당액, 일경은 일등병 봉급 상당액, 이경은 이등병 봉급 상당액

2

경찰공무원은 특별한 임무를 수행하는 경우 추가 수당이 지급됩니다.
경찰공무원 수당
상여수당(3종) 대우공무원 수당 (월봉급액의 4.1%)
정근 수당(월봉급액의0~50%, 연 2회) * 정근수당 가산금(월 5~13만원, 5년 이상자)
성과상여금(지급기준액의 0~172.5%, 연 1회 이상)
가게보전수당(4종) 가족수당(배우자 월4만, 기타부영가족 월2만, 4인까지) * 자녀 : 첫째(월 2만원), 둘째(월 6만원), 셋째 이후(월 10만원)
자녀학비보조수당(고등학생 자녀의 학비, 분기별)
주택수당 (하사 이상 중령 이하, 월 8만원)
육아휴직수당(월봉급액의40%, 상한100 ~ 하한 50만원) * 단, 첫 3개월은 월봉급액의 80%
특수지근무수당 도서, 벽지, 접적지, 특수기관 근무자(월 4~6만원)
특수근무수당(4종) 위험근무수당(위험직무종사자, 월 4~6만원)
특수업무수당(특수업무종사자)
업무대행수당(육아휴직자 등 업무대행, 월 20만원)
군법무관수당(월봉급액의 35% 이하)
초과근무수당 등 (2동) 초과근무사당(5급 이하 공무원 시간외근무, 야근근무, 휴일근무)
관리업무수당(4급 이상 공무원, 월 봉급액의 9%)

※ 경찰 공무원의 수당은 단순한 금전적 보상 외에도 심리적 안정감이나 직무 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더 나아가, 이러한 수당들은 경찰 공무원이 직무를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데 필요한 자원 제공의 역할도 합니다.

계급 시간외 수당(시간 당) 야간수당(시간 당) 휴일수당(일 당)
경정 14,167원 4,722원 113,879원
경감 12,525원 4,175원 100,679원
경위 11,443원 3,814원 91,981원
경사 10,643원 3,548원 85,553원
경장 9,675원 3,225원 77,769원
순경 8,992원 2,997원 72,28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