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공무원, 왜 인기인가?


1
직업의 안정성과 연금 |
|
---|---|
적성에 맞는 부서근무 |
|
봉급과 수당혜택 |
|
전국 어디에서나 근무가능 |
|
인사이동 주기와 전출입 자유 |
|
높은 스트레스와 심리적 압박 |
|
---|---|
불규칙적인 근무시간 |
|
조직 내부 정치적 갈등 |
|
사회적 비난과 편견 |
|
진급 경쟁의 치열함 |
|
2
전직, 현직 경찰공무원의 공통적으로 힘들었던 부분으로 꼽았던 부분은 밤을 새우는 것이었다. 친구의 경우 주야비휴로 근무가 돌아가는데 2주에 3일은 야간근무로 밤을 새워야 하는 상황이 온다. 평일을 빡세게 일하고 놀기 삼아 편하게 맥주를 까면서 노는 느낌의 밤샘이 아니라는 것. 어쩌다 한 번도 밤을 새우는 것은 쉽지가 않은데, 일상이 된다는 말이다.
신고자는 신고자 나름대로의 입장이 있고, 신고를 당한 사람은 당한 사람대로의 입장을 다 들어줘야 한다는 뜻이다. 쉬운 예를 들어보자면 골목길이 많은 빌라촌의 주차문제가 있다. 보통 빌라촌은 주차공간이 매우 부족해서 심한 곳은 자동차 3대 정도가 나란히 세워지는 골목에 양쪽으로 불법 주차가 되어 있어서, 한대만 지나다닐 수 있는 곳도 많다. 그렇게 되면 양쪽 자동차 중에서 한대만 삐져나와도 주체문제로 이어진다. 즉 좁아서 어쩔 수 없다 vs 더 옆으로 바짝 주차해라. 구도가 된다. 근데 이걸 주차공간이 부족한 지역 탓이고 딱히 그 사람들 사이에서 누가 잘했니 못했나 따지기도 애매한 문제라 결국은 둘을 잘 토닥거리는 수 밖에 없다. 이렇게 햄버거 사이에 패티, 샌드위치가 되는 상황이 된다.
아무래도 야간 근무에는 술 먹고 취한 비정상적인 사람을 상대하게 된다. 2주에 3번은 야간근무가 돌아오는데 그때마다 비정상적인 사람을 상대해야 한다는 뜻이다. 친구에게 들었던 상황 중에는 마스크를 안 써서 신고당한 사람이 오히려 난동을 피워서 골치가 아팠었다.라는 일화도 있었다. 대표적인 것이 이런 부분을 많이 얘기하시는 것을 알게 되었다.
업무강도에 대한 이야기도 꽤 많았습니다. 자동차에 오래타고 있으면 가만히 있어도 휴식이 아니잖아요? 경찰공무원 직업의 특성상 순마를 타고 나가서 근무를 서게 되면 차에서 보내는 시간도 길고, 사람들의 눈치도 보게 된다는 점도 있었습니다. 몸은 그냥 앉아있지만, 쉰다고 표현하기는 힘들지요.
1
1 점점 더 심해지는 취업난 |
---|
취업이 하늘의 별따기라는 말이 옛말이 아닌 요즘, 경기불황이 계속되면서 사상 최대의 취업난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런 취업난 속에서 신분이 보장되는 안정된 직장인 공무원 직종에 대한 인기는 갈수록 높아질 수 밖에 없겠죠. 안정적이고 복리후생까지도 기대할 수 있는 직장이다보니 더욱 더 늘어나고 있는 추세입니다. |
2다양한 분야에서 커리어 개발 가능 |
경찰이라고 모두 같은 업무를 하는 건 아닙니다. 형사, 교통, 사이버수사, 외사, 경찰특공대 등 본인의 성향과 적성에 맞는 부서에서 전문성을 쌓을 수 있는 기회가 많습니다. 다양한 경험을 통해 자기 계발과 커리어 확장이 가능하다는 것도 큰 장점입니다. |
3공평한 기회 |
학력, 스펙보다 오직 실력으로만 평가되는 직무로, 경력, 성별, 학력 등 상관없이 누구나 응시가능하고 차별없는 공정한 시험으로 채용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많은 분들이 공무원의 꿈을 꾸게 되는 추세입니다. |
그럼 실제로 경찰공무원으로 일을 시작하게 되면 어떤 점이 구체적으로 좋을까요? 경찰관으로 임명되면 처음에는 경찰서 혹은 지구대에서 일정 기간 근무를 한 뒤, 교통경찰관이나 수사형사 등으로 근무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본청 지방청 및 경찰서나 파출소에서 가장 기본적인 임무 즉, 국민의 생명 신체 및 재산의 보호와 범죄 예방과 진압, 수사와 교통 단속 및 기타 공공의 안녕과 질서 유지를 목적으로 하는 업무에 종사하게 됩니다. 위 직무를 일정 기간 종사하고 나면 교통경찰관이 수사형사 등 경과별로 근무할 기회가 주어지게 되고, 그 후 자동으로 또는 시험을 통해 승진을 할 수 있다는 큰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
2
※ 복지 제도는 경찰 공무원이 일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돕고, 가족에게도 안정적인 삶을 제공하는 데 기여합니다. 경찰 공무원으로 변호사, 의사들과 마찬가지로 안정된 직장생활을 하고자 하는 분들에게 큰 매력을 느끼게 합니다. 이러한 혜택들은 경찰직의 장기적인 매력을 높이는 데 큰 몫을 하게 됩니다.
1
(월지급액,단위:원)
<비고> 1.경찰대학생: 1학년 1,215,000원, 2학년 1,350,000원, 3학년 1,500,000원, 4학년 1,650,000원 2.경찰간부후보생 및 소방간부후보생: 임용예정 계급의 1호봉에 해당하는 봉급의 80퍼센트에 상당하는 금액 3.의무소방원: 특방은 지원에 의하지 않고 임용된 하사 봉급 상당액, 수방은 병장 봉급 상당액, 상방은 상등병 봉급 상당액, 일방은 일등병 봉급 상당액, 이방은 이등병 봉급 상당액 4.의무경찰: 특경은 지원에 의하지 않고 임용된 하사 봉급 상당액, 수경은 병장 봉급 상당액, 상경은 상등병 봉급상당액, 일경은 일등병 봉급 상당액, 이경은 이등병 봉급 상당액
2
경찰공무원 수당 | |
---|---|
상여수당(3종) | 대우공무원 수당 (월봉급액의 4.1%) |
정근 수당(월봉급액의0~50%, 연 2회) * 정근수당 가산금(월 5~13만원, 5년 이상자) | |
성과상여금(지급기준액의 0~172.5%, 연 1회 이상) | |
가게보전수당(4종) | 가족수당(배우자 월4만, 기타부영가족 월2만, 4인까지) * 자녀 : 첫째(월 2만원), 둘째(월 6만원), 셋째 이후(월 10만원) |
자녀학비보조수당(고등학생 자녀의 학비, 분기별) | |
주택수당 (하사 이상 중령 이하, 월 8만원) | |
육아휴직수당(월봉급액의40%, 상한100 ~ 하한 50만원) * 단, 첫 3개월은 월봉급액의 80% | |
특수지근무수당 | 도서, 벽지, 접적지, 특수기관 근무자(월 4~6만원) |
특수근무수당(4종) | 위험근무수당(위험직무종사자, 월 4~6만원) |
특수업무수당(특수업무종사자) | |
업무대행수당(육아휴직자 등 업무대행, 월 20만원) | |
군법무관수당(월봉급액의 35% 이하) | |
초과근무수당 등 (2동) | 초과근무사당(5급 이하 공무원 시간외근무, 야근근무, 휴일근무) |
관리업무수당(4급 이상 공무원, 월 봉급액의 9%) |
※ 경찰 공무원의 수당은 단순한 금전적 보상 외에도 심리적 안정감이나 직무 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더 나아가, 이러한 수당들은 경찰 공무원이 직무를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데 필요한 자원 제공의 역할도 합니다.
계급 | 시간외 수당(시간 당) | 야간수당(시간 당) | 휴일수당(일 당) |
---|---|---|---|
경정 | 14,167원 | 4,722원 | 113,879원 |
경감 | 12,525원 | 4,175원 | 100,679원 |
경위 | 11,443원 | 3,814원 | 91,981원 |
경사 | 10,643원 | 3,548원 | 85,553원 |
경장 | 9,675원 | 3,225원 | 77,769원 |
순경 | 8,992원 | 2,997원 | 72,280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