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과

기본 25년 대비 해양경찰학 정태정 교수

Best New 추천강좌 완강

[해양경찰 기본] 2025 정태정의 해양경찰학 기본이론

강의수 : 87강 / 87강 수강기간 : 80일

강좌

[해양경찰 기본] 2025 정태정의 해양경찰학 기본이론

275,000

교재
  • 주교재 - 2025 정태정 해양경찰학개론 핵심이론

    46,800

총 주문금액 0

강좌정보

강좌유의사항필독

※ 현장 강의 일정: 12/9(월) 개강, 10회차

※ 본 강좌는 12/9(월)부터 업로드 될 예정입니다.​ 

※ 교재는 정태정 해양경찰학개론 핵심이론(멘토링 출판)으로 진행됩니다.​ 

강좌소개

◎ 해양경찰학 전 범위 기본 이론​​

강좌특징

◎ 입문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기본 개념 위주의 강좌

 

◎ 비교와 사례 중심의 풍부한 해설을 해주는 강좌​

 

◎ 기출 문제 중심의 강의로 이론과 기출을 한번에 정리하는 일석이조 강좌

 

◎ 문답식 강의로 집중력을 이끌어 내는 강좌

 

◎ 주요 내용 확인할 수 있는 OX 복습 테스트 제공  

수강대상

- 2025 해양경찰 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

- 해양경찰학 이론을 완벽하게 정리하고자 하는 수험생​ ​ 

교재정보

  • 2025 정태정 해양경찰학개론 핵심이론

    분야 : 해양경찰학 저자 : 정태정 출판사 : 멘토링 판형/쪽수 : 190×260 / 794

    출판일 : 2024-03-25 교재비 : 판매중 52,000원(10%↓) 46,800원

     

    <책의 특징>

    1. 최근 제정 및 개정법령 반영

    2. 시험 적합성 중심의 체계적 구성

    3. 학인학습을 위한 주요 기출문제 수록




    해양경찰학개론핵심이론을 내며...

     

     

    해양경찰학개론기본이론서를 출간한 지도, 벌써 7년이 지났습니다. 돌아보면, 기본이론서를 낼 무렵에는 채용시험에 해양경찰학개론과목이 처음 도입되는 때로 해양경찰학개론에 대한 많지 않은 정보로 부족함이 꽤 있었던 시기였습니다.

     

    채용시험에서 해양경찰학개론과목은 2018811일 처음 경력특채와 경찰간부 시험을 치렀고, 이후 공채시험, 해양경찰학과 경력특채, 수사경과특채 등 다양한 직렬에서 치러졌고 또한 연수가 더해지면서 다행히도 지금은 해양경찰개론에 대한 출제범위와 방향, 유형 등의 경향이 이제 정형화되어 지기 시작했습니다.

     

    해양경찰학개론은 내용이 다양하고, 특성이 뚜렷한 정체성이 있는 과목이 아니기에, 처음에는 양의 방대함으로 인한 막막함과 접근의 어려움이 많은 과목입니다. 이에 해양경찰학개론과목에 접근성을 높이고, 방대한 양을 줄이고, 출제경향을 반영하여 단권으로도 고득점을 할 수 있어야 한다는 고심 끝에 나온 교재가 해양경찰학개론 핵심이론교재입니다.

    특히, 처음 해양경찰학개론을 접하는 초심자에게는 너무 어렵다는 의견도 있었고, 개인적으로도 방대한 해양경찰학개론의 내용을 시험 적합성에 맞는 내용으로만 핵심 요약할 필요가 있어 출간하게 되었습니다.

     

     

    이 교재는

     

    1. 최근 개정 및 예고된(251월까지) 법령 사항을 모두 포함하였다.

    2.그리고 경력특채 및 공채, 경찰간부 기출문제와 해양경찰학 관련 법규기출 등을 수록하여 확인학습문제로 활용하였다.

    3. 이 한권의 교재로도 해양경찰학개론master할 수 있도록 최대한 핵심 이론화하여, 완벽 대비할 수 있도록 하였다.

    4. 자매서인 기출문제집 & 예상문제집과 같은 편제로 구성하여 체계성과 편리함을 갖추고 서로 시너지 효과가 날 수 있도록 하였다.

    분명히 할 것은, 핵심 이론교재라고 해서 내용이 쉽거나 단순하지는 않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주요 내용을 도표 등으로 가능한 정리를 했을 뿐이지, 결코 단순 요약서는 아닙니다.

    그리고 이후 기출문제집과 예상문제집으로 이론 내용을 확인하고 문제화·실전화하면 반드시 고득점으로 이어질 것으로 확신합니다.

     

    항상 교재를 출간한 뒤에는 많은 아쉬움과 부족함이 남습니다. 이 부족함은 다음의 연구과제로 남기기로 하고 아무쪼록 수험생 여러분들의 합격의 영광에 작은 도움이라도 되길 기원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이 책이 나오기까지 힘써 주신 멘토링 출판 정대열·금병희 대표님과 미래인재 경찰학원 여러분들에게 깊은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정태정 올림


    close

    PART 01 해양경찰의 기초

     

     

    Chapter 01 해양개념과 임무 20

     

    1 해양경찰의 의의 & 분류 20

    1. 대륙법계 경찰과 영미법계 경찰의 비교 20

    2. 형식적 의미의 경찰과 실질적 의미의 경찰 20

    3. 경찰의 분류 21

     

    2 해양경찰의 임무와 관할 23

    1. 해양경찰의 기본적 임무 23

    2. 위험과 위험에 대한 인식 26

    3. 해양경찰의 직무범위를 규정한 법(형식적 의미의 경찰) 27

    4. 경찰활동의 기초로서 광의의 경찰권 28

    5. 해양경찰의 수단 29

    6. 해양경찰의 관할 30

     

    3 해양경찰의 기본이념과 윤리 36

    1. 해양경찰의 기본이념(가치) 36

    2. 경찰윤리 38

    3. 경찰부패의 원인 40

     

    4 해양경찰활동의 사상적 토대 43

    1. 사회계약설 43

    2. 사회계약설로부터 도출되는 경찰활동의 사상적 기준(Cohen & Feldberg) 43

    3. 불신적 태도 45

     

    5 해양경찰과 경찰청 소속 경찰의 비교 52

    1. 경찰청 소속 경찰과의 유사성 52

    2. 경찰청 소속 경찰과의 차별성 53

     

     

     

     

    Chapter 02 해양경찰의 역사와 제도 55

     

    1 서설 55

     

    2 갑오개혁 이전의 경찰 55

     

    3 갑오개혁 이후 대한민국정부수립 이전 56

    1. 의의 56

    2. 시대적 상황 56

    3. 갑오개혁부터 일제강점기까지 57

    4. 미군정시대 경찰 60

     

    4 현대 해양경찰조직의 역사적 변천 61

    1. 서설 61

    2. 현대 해양경찰의 태동 62

    3. 상공부 해무청 해양경비대 시대(1955. 2.7-1962. 5.1) 63

    4. 내무부 치안국 해양경찰대 시대(1962. 51974. 12) 63

    5. 내무부 치안본부 해양경찰대 시대(1974.12-1991.7) 64

    6. 내무부 경찰청 해양경찰청 시대(1991.71996.8) 64

    7. 독립 해양경찰청 시대(1996. 8. 8-2014. 11. 18) 65

    8. 국민안전처 소속 해양경비안전본부 시대(2014.11-2017. 7) 66

    9. 해양수산부 소속 해양경찰청 시대(2017. 7. 26 현재) 67

     

     

    Chapter 03 외국의 해양경찰 69

     

    1 서설 69

     

    2 미국의 코스트 가드 69

    1. 의의 69

    2. 조직과 구성 69

    3. 역할과 주요임무 70

     

    3 일본의 해상보안청 73

    1. 의 의 73

    2. 조직구성과 역할 73

    3. 주요임무와 기능 74

     

    4 중국의 해양경찰국 76

    1. 의의 76

    2. 조직과 임무 76

    3. 해양경찰국(국가해양국 소속) 76

      

     

     

    PART 02 해양경찰의 조직

     

     

    Chapter 01 해양경찰의 조직 80

     

    1 해양경찰과 법적 토대 80

    1. 경찰과 법치행정 80

    2. 경찰법의 법원(法源) 81

     

    2 해양경찰조직과 기관 85

    1. 서설 85

    2. 경찰조직일반 85

    3. 보통경찰기관 86

    4. 경찰관청 상호간의 관계 103

     

    Chapter 02 해양경찰공무원 109

     

    1 서설 109

    1. 경찰공무원의 의의 109

    2. 경찰공무원의 분류 109

     

    2 해양경찰공무원의 신분변동 110

    1. 경찰공무원의 임용(관계의 발생) 111

    2. 경찰공무원관계의 변경 115

    3. 경찰공무원관계의 소멸 120

     

    3 해양경찰공무원의 지위 122

    1. 권리와 의무 123

    2. 경찰공무원의 책임 126

    3. 경찰공무원의 보호 131

     

    Chapter 03 손해전보제도 133

     

    1 행정상 손해배상 133

    1. 서설 133

    2. 공무원의 위법한 직무행위로 인한 손해배상(국가배상법2) 133

    3. 영조물의 설치관리상의 하자로 인한 손해배상(국가배상법5) 134

     

    2 행정상 손실보상 135

     

     

     

    Chapter 04 행정쟁송제도 136

     

    1 서설 136

    1. 행정쟁송의 의의 136

    2. 행정쟁송의 종류(행정심판과 행정소송) 136

     

    2 행정심판 137

    1. 행정심판법상의 행정심판의 종류 137

    2. 행정심판의 대상(행정심판 개괄주의) 137

    3. 행정심판기관(행정심판위원회:의결기관) 137

    4. 행정심판청구 137

    5. 행정심판의 심리 137

    6. 행정심판의 재결 138

     

    3 행정소송 138

    1. 의의 138

    2. 행정소송의 종류 138

     

     

    Chapter 05 해양경찰작용 143

     

    1 해양경찰권 발동의 근거와 한계 143

    1. 경찰권의 근거 143

    2. 일반조항(일반적 수권조항, 개괄조항) 143

    3. 경찰권의 한계 144

    4. 경찰개입청구권 151

     

    2 해양경찰처분 153

    1. 경찰처분의 의의 153

    2. 경찰처분(행정행위)의 종류 154

    3. 경찰처분의 효과 154

    4. 무효와 취소의 구별 155

    5. 경찰처분의 내용 156

    6. 행정행위의 부관 164

     

    3 해양경찰강제 169

    1. 경찰강제 169

    2. 경찰상 강제집행 170

    3. 경찰상 강제집행의 수단 170

    4. 경찰상 즉시강제(경찰의 전통적 수단) 172

    5. 경찰상 조사 174

    4 해양경찰벌 176

    1. 서설 176

    2. 경찰벌의 근거 177

    3. 경찰벌의 종류 178

    4. 경찰벌의 특수성 181

    5. 그 밖의 경찰의무이행 확보수단 188

     

     

    Chapter 06 해양경찰 직무집행 190

     

    1 해양경찰 직무집행 일반 190

    1. 해양경찰직무집행의 의의 190

     

    2 경찰관직무집행법상 직무집행 191

    1. 서설 191

    2. 경찰관직무집행법상 경찰강제 193

     

    3 해양경비법상 직무집행 211

    1. 서설 211

    2. 해양경비법상의 경찰강제 215

    3. 해양 경비활동의 계획과 운용 225

     

    4 UN 해양법상의 직무집행 230

    1. 의의 230

    2. 임검권(110) 230

    3. 추적권(111) 231

     

     

    Chapter 07 해양경찰의 관리행정 233

     

    1 서설 233

     

    2 해양경찰 조직관리 233

    1. 경찰관료제(官僚制)의 특성 233

    2. 조직편성의 원리 234

     

    3 해양경찰 인사관리 237

    1. 인사관리 237

    2. 인사행정의 2대원칙 237

    3. 공직의 분류 239

    4. 사기관리 242

    5. 근무성적평정 244

     

    4 해양경찰 예산관리 246

    1. 서설 246

    2. 경찰예산의 4단계 252

    3. 경찰의 관서운영경비 255

    4. 경찰기획(警察企劃) 256

     

    5 해양경찰 장비관리 258

    1. 장비관리의 의의 258

    2. 해양경찰장비의 도입 및 관리 258

    3. 함정운영관리 260

    4. 총기 및 탄약관리 272

     

    6 보안관리 275

    1. 보안의 의의 275

    2. 비밀의 구분&관리 275

    3. 보안의 대상(객체) 278

    7 경찰공보 281

    1. 경찰공보의 의의 281

    2. 경찰과 대중매체의 관계 282

    3. 경찰 C.R 283

    4. 언론보도와 피해구제(언론중재 및 피해구제 등에 관한 법률) 283

     

     

    Chapter 08 경찰통제 및 적극행정 289

     

    1 경찰에 대한 통제 289

    1. 서설 289

    2. 통제의 유형 및 그 장치 290

    3. 공공기관의 정보공개 304

     

    2 해양경찰의 적극행정 314

    1. 의의 314

    2. 주요근거 314

    3. 대상/유형 314

    4. 적극행정의 면책 314

     

     

     

     

    PART 03 해양경찰의 주요활동

     

    Chapter 01 해양경찰 범죄예방론 320

     

    1 지역경찰활동 320

    1. 지역경찰활동의 의의 320

    2. 파출소와 출장소의 활동(파출소 및 출장소 운영규칙) 320

     

    2 기초질서위반사범의 단속 330

    1. 의의 330

    2. 깨진유리창 이론 330

    3. 경범죄처벌법(1954) 331

     

     

    Chapter 02 해양경찰 수사론 334

     

    1 수사경찰의 의의 334

    1. 수사의 의의 334

    2. 수사의 목적과 구조 336

    3. 수사의 조건 337

    4. 수사의 기본이념과 제 원칙 339

     

    2 수사경찰 활동 342

    1. 수사의 과정 342

    2. 임의수사와 강제수사 363

     

    3 현장수사 활동 376

    1. 초동수사 376

    2. 기초 및 탐문수사 377

    3. 광역 및 공조수사 379

    4. 수배 및 조회제도 383

    5. 수법수사 388

    6. 장물수사 391

    7. 알리바이 수사 392

    8. 그 밖의 수사 393

     

    4 조사 및 수사서류의 작성 396

    1. 조사(照査) 396

    2. 수사서류의 작성 397

     

    5 과학수사 399

    1. 범죄감식 399

    2. 지문감식 400

    3. 족흔적 감식 401

    4. 법의 혈청학 401

    5. 그 밖의 과학수사 403

     

    6 법의학(사망 및 시체현상) 405

    1. 사망과 검시 405

    2. 시체현상 405

     

    7 수사행정 407

    1. 피의자 유치 및 호송 407

    2. 범죄통계 417

     

    8 통신비밀보호와 통신수사 418

    1. 통신수사의 종류 418

    2. 통신제한조치 419

    3. 통신사실확인자료 422

    4. 통신자료 425

     

    9 마약범죄수사 426

    1. 마약류의 정의 426

    2. 마약류사범의 특징 427

    3.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상 주요 마약류 427

     

     

    Chapter 02 해양경찰 정보론 430

     

    1 서설 430

    1. 정보의 의의 430

    2. 첩보와 정보의 비교 430

    3. 정보의 특성 431

    4. 정보의 효용 432

    5. 정보의 분류 433

     

    2 정보의 산출 435

    1. 정보산출의 의의 435

    2. 정보의 산출과정(정보요구 첩보수집 정보생산 정보배포) 436

     

    3 정보경찰활동 439

    1. 정보경찰의 의의 439

    2. 견문수집 및 처리 442

    3. 정보채증활동 443

    4. 신원조사 443

    5. 해상에서의 집회 및 시위관리 445

     

    4 부문별 정보 450

    1. 공직선거정보(공직선거법) 450

    2. 사회정보 451

     

     

    Chapter 04 해양경찰 보안론 453

     

    1 보안과 보안경찰 453

    1. 보안의 의의 453

    2. 보안경찰의 특징 454

    2 보안경찰활동 454

    1. 방첩활동 454

    2. 비밀공작 457

    3. 심리전 459

    4. 대공상황 발생시의 조치요령 461

     

    3 보안수사활동 461

    1. 보안수사 461

    2. 국가보안법 461

     

    4 보안관찰 467

    1. 보안관찰처분대상자 467

    2. 보안관찰처분의 절차 및 면제요건 467

    3. 보안관찰기간 및 집행 467

    4. 신고 468

    5. 불복절차 468

     

    5 남북교류협력 468

    1. 의의 468

    2. 남북교류협력에 관한 법률 469

     

    6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472

    1. 의의 472

    2. 북한이탈주민의 처리과정 472

     

     

    Chapter 05 해양경찰 외사론 474

     

    1 서설 474

    1. 의의 474

    2. 외사경찰의 특징 475

     

    2 외사경찰의 대상 475

    1. 외국인 475

    2. 외국군대 및 군함 487

     

    3 외사수사활동 488

    1. 의의 488

    2. 외국인 범죄의 수사(처리방법) 489

    3. 외국인에 대한 조사(해양경찰수사규칙92) 489

    4. 외국 선박내의 범죄(범죄수사규칙188) 490

     

    4 외교사절 491

    1. 의의 491

    2. 영사와의 구별 491

    3. 외교사절의 파견 492

    4. 특권인정시기와 직무개시시기 492

    5. 외교사절의 특권 492

     

    5 국제경찰공조 493

    1. 국제경찰공조의 유형 493

    2. 국제형사경찰기구(ICPO, The International Criminal Police Organization) 493

    3. 범죄인인도(범죄인인도법) 496

    4. 국제형사사법공조(국제형사사법 공조법) 498

     

    6 한미행정협정(SOFA, Status of Forces Agreement) 500

    1. 의의 500

    2. 협정의 적용대상자 500

    3. 형사재판권 501

    4. 사건처리 501

    5. 체포 및 구금 502

    6. 피의자 및 피고인의 권리 502

    7. 시설 및 구역 내의 경찰권 503

    8. 국가배상 503

    9. SOFA협정의 문제점 503

     

     

    Chapter 06 해양경찰 경비론 505

     

    1 경비일반 505

    1. 의의 505

    2. 경비경찰활동의 기본원칙 507

    3. 경비경찰활동의 수단과 방법 508

    4. 해양경비세력의 운영 510

    2 해양경비 경찰활동 513

    1. 서설 513

    2. 해상 검문검색 513

    3. 해상시위의 진압 520

    4. 해양대테러 경비 527

    5. 해양경호경비 543

    6. 해양중요시설의 보호 549

    7. 경찰작전 및 위기관리 551

     

    3 외국의 대테러 경비 559

    1. 세계 주요 테러조직 559

    2. 각국의 대테러 부대 560

     

     

    Chapter 07 해양경찰 수색구조론 561

     

    1 서설 561

    1. 의의 561

    2. 수색구조에 관한 주요법령 561

     

    2 수상에서의 수색 및 구조 565

    1. 서설 565

    2. 수난대비 566

    3. 수난구호 576

    4. 조난통신 585

    5. 사후처리 588

     

    3 구조본부 구성 및 운영 591

    1. 서설 591

    2. 구조본부 구성 및 운영체계 591

    3. 해상수색 및 구조에 관한 국제협약(SAR 협약 1979) 603

     

     

    Chapter 08 해양경찰 안전관리론 625

     

    1 서설 625

    1. 의의 625

    2. 파출소의 주요업무와 주요사건의 처리 626

     

     

    2 어선의 안전조업관리와 통제 628

    1. 서설 628

    2. 어선의 안전과 조업관리 633

     

    3 유도선 안전관리 645

    1. 서설 645

    2. ·도선사업의 면허 646

    3. 유선사업 649

    4. 도선사업 652

    5. 안전검사 및 안전관리 655

     

    4 수상레저 안전관리 665

    1. 서설 665

    2. 조종면허 667

    3. 안전준수의무 673

    4. 안전관리 678

    5. 수상레저사업 679

    6. 위반에 대한 제재 680

     

    5 연안사고 및 해수욕장 안전관리 694

    1. 서설 694

    2. 연안사고 예방 기본계획 695

    3. 연안사고 안전관리규정 697

    4. 연안순찰 702

     

    6 해상교통 안전관리 708

    해사안전기본법 708

    해상교통안전법 715

    선박의 입항 및 출항 등에 관한 법률 746

    선박교통관제에 관한 법률 753

     

     

    Chapter 09 해양경찰 환경관리론 763

     

    1 서설 763

    1. 의의 763

    2. 법적근거 763

     

    2 해양환경 오염방지 및 방제 766

    1. 서설 766

    2. 해양환경의 보전·관리를 위한 조치 770

    3. 해양오염방지를 위한 규제 772

    4. 해양오염방지를 위한 조치 777

    해양오염방제 784

     

    3 방제대책본부의 운영 792

    1. 서설 792

    2. 방제대책본부의 설치 및 운영 793

    3. 그 밖의 주요내용 796

     

    4 방제장비 및 자재의 운용 797

    1. 서설 797

    2. 방제장비 및 방제자재 797

    3. 관리 및 지도점검 798

    4. 방제자재·약제의 사용 798

     

     

     

    close

강의목차

강의 목차
No 제목 무료보기 자료 강의시간
1강 [241209_01] 01강 OT. 목차 소개 및 출제경향 강의시간 32분
2강 [241209_02] 02강 [총론] Chapter 01 해양경찰의 개념과 임무 p20~21 강의시간 50분
3강 [241209_03] 03강 경찰의 분류 p21~22 강의시간 38분
4강 [241211_01] 04강 제2절 해양경찰의 기본적 임무 p23~25 강의시간 41분
5강 [241211_02] 05강 위험과 위험에 대한 인식 p26~29 강의시간 40분
6강 [241211_03] 06강 해양경찰의 관할 p30~31 강의시간 40분
7강 [241211_04] 07강「영해 및 접속수역법」p31~36 강의시간 32분
8강 [241216_01] 08강 제3절 해양경찰의 기본이념과 윤리 p36~40 강의시간 44분
9강 [241216_02] 09강 경찰부패의 원인 p40~51 강의시간 42분
10강 [241216_03] 10강 제5절 해양경찰과 경찰청 소속 경찰의 비교 p52~60 강의시간 37분
11강 [241216_04] 11강 해방병단과 조선해안경비대 p60~64 강의시간 39분
12강 [241216_05] 12강 내무부 경찰청 해양경찰청 시대 p64~68 강의시간 24분
13강 [241216_06] 13강 03 외국의 해양경찰 p69~78 강의시간 43분
14강 [241223_01] 14강 01 해양경찰의 조직 p80~83 강의시간 45분
15강 [241223_02] 15강 행정입법(명령) : 법규명령 + 행정명령 p83~104 강의시간 41분
16강 [241223_03] 16강 제2절 해양경찰조직과 기관 p85~89 강의시간 38분
17강 [241223_04] 17강 해양경찰위윈회 p87~95 강의시간 43분
18강 [241223_05] 18강 해양경찰과 그 소속기관 직제 p95~102 강의시간 35분
19강 [241227_01] 19강 권한의 대리와 권한의 위임 p104~108 강의시간 41분
20강 [250325_01] 20강 제2장 해양경찰공무원 p109~111 (25년 1월 개정사항 반영) 강의시간 44분
21강 [250325_02] 21강 시보임용 p111~119 (25년 1월 개정사항 반영) 강의시간 37분
22강 [250325_03] 22강 직위해제 p119~125 (25년 1월 개정사항 반영) 강의시간 32분
23강 [241230_01] 23강 경찰공무원의 의무 p124~130 강의시간 44분
24강 [241230_02] 24강 경찰공무원의 보호 p131~142 강의시간 37분
25강 [250111_01] 25강 Chapter 05 해양경찰작용 p143~149 강의시간 34분
26강 [250111_02] 26강 경찰비례의 원칙 p146~150 강의시간 34분
27강 [250111_03] 27강 경찰책임의 원칙 p147~153 강의시간 16분
28강 [250115_01] 28강 제2절 해양경찰처분 p153~164 강의시간 41분
29강 [250115_02] 29강 무효와 취소의 구별 p155~189 강의시간 32분
30강 [250115_03] 30강 제3절 해양경찰강제 p169~176 강의시간 42분
31강 [250115_04] 31강 제4절 해양경찰벌 p176~189 강의시간 42분
32강 [250115_05] 32강 제6장 해양경찰 직무집행 p190~196 강의시간 42분
33강 [250122_01] 33강 보호조치(제4조) p196~203 강의시간 41분
34강 [250122_02] 34강 경찰장비의 사용(제10조) p203~207 강의시간 42분
35강 [250122_03] 35강 경찰착용기록장치의 사용(제10조의 5) p205~211 강의시간 32분
36강 [250122_04] 36강 제3절 해양경비법상 직무집행 p211~215 강의시간 36분
37강 [250122_05] 37강 해상에서의 검문검색(제12조) p215~229 강의시간 42분
38강 [250205_01] 38강 해상항행 보호조치 및 안전조치(제14조) p220~232 강의시간 41분
39강 [250205_02] 39강 제7장 해양경찰의 관리행정 p233~237 강의시간 45분
40강 [250205_03] 40강 제3절 해양경찰 인사관리 p237~245 강의시간 25분
41강 [250205_04] 41강 제3절 해양경찰 인사관리 p237~246 강의시간 44분
42강 [250205_05] 42강 제4절 해양경찰 예산관리 p246~257 강의시간 40분
43강 [250205_06] 43강 예산의 형식(구성) p247~256 강의시간 43분
44강 [250212_01] 44강 제5절 해양경찰 장비관리 p258~262 강의시간 34분
45강 [250212_02] 45강 함정의 호칭 및 분류(제5조) p262~270 강의시간 44분
46강 [250212_03] 46강 교육훈련 및 정비 p270~274 강의시간 28분
47강 [250212_04] 47강 제6절 보안관리 p275~280 강의시간 41분
48강 [250212_05] 48강 제7절 경찰공보 p281~297 강의시간 47분
49강 [250219_01] 49강 경찰의 내부적 통제와 외부적 통제 p297~304 강의시간 35분
50강 [250219_02] 50강 공공기관의 정보공개 p304~318 강의시간 50분
51강 [250113_01] 51강 [각론] 제1장 해양경찰 범죄예방론 p320~324 강의시간 41분
52강 [250113_02] 52강 복장의 착용(제19조) p324~333 강의시간 37분
53강 [250113_03] 53강 제2장 해양경찰 수사론 p334~341 강의시간 36분
54강 [250120_01] 54강 제2절 수사경찰 활동 p342~347 강의시간 43분
55강 [250120_02] 55강 변사자 검시 p347~362 강의시간 43분
56강 [250120_03] 56강 임의수사와 강제수사 p363~388 강의시간 43분
57강 [250120_04] 57강 수법수사 p388~395 강의시간 37분
58강 [250203_01] 58강 제4절 조사 및 수사서류의 작성 p396~407 강의시간 40분
59강 [250203_02] 59강 제7절 수사행정 p407~429 강의시간 44분
60강 [250203_03] 60강 제3장 해양경찰 정보론 p430~452 강의시간 34분
61강 [250203_04] 61강 제2절 정보의 산출 p435~450 강의시간 53분
62강 [250203_05] 62강 제4장 해양경찰 보안론 p453~466 강의시간 44분
63강 [250203_06] 63강 국가보안법 각조 p462~474 강의시간 30분
64강 [250210_01] 64강 제5장 해양경찰 외사론 p474~479 강의시간 44분
65강 [250210_02] 65강 외국인의 입국금지사유(제11조) p479~488 강의시간 41분
66강 [250210_03] 66강 제3절 외사수사활동 p488~496 강의시간 45분
67강 [250210_04] 67강 범죄인인도(「범죄인인도법」) p496~504 강의시간 37분
68강 [250210_05] 68강 제6장 해양경찰 경비론 p505~519 강의시간 44분
69강 [250217_01] 69강 해상시위의 진압 p520~533 강의시간 25분
70강 [250217_02] 70강 해양대테러 경비 p527~542 강의시간 42분
71강 [250217_03] 71강 해양경호경비 p543~560 강의시간 45분
72강 [250219_01] 72강 제7장 해양경찰 수색구조론 p561~566 강의시간 31분
73강 [250219_02] 73강 수난대비 p566~580 강의시간 43분
74강 [250224_01] 74강 수난구호 p576~585 강의시간 42분
75강 [250224_02] 75강 조난통신 p585~602 강의시간 50분
76강 [250224_03] 76강「해양 유도선 재난에 대한 중앙사고수습본부 구성 및 운영 등에 관한 규정」p600~624 강의시간 17분
77강 [250224_04] 77강 제8장 해양경찰 안전관리론 p625~644 강의시간 50분
78강 [250226_01] 78강 제3절 유도선 안전관리 p645~664 강의시간 43분
79강 [250226_02] 79강 제4절 수상레저 안전관리 p665~673 강의시간 41분
80강 [250226_03] 80강 안전준수의무 p673~679 강의시간 43분
81강 [250226_04] 81강 수상레저사업 ~ [수상레저기구의 등록 및 검사법] p679~693 강의시간 32분
82강 [250226_05] 82강 제5절 연안사고 및 해수욕장 안전관리 p694~707 강의시간 45분
83강 [250303_01] 83강 제6절 해상교통 안전관리 p708~729 강의시간 47분
84강 [250303_02] 84강 해기사 면허의 취소ㆍ정지 요청(제42조) p728~752 강의시간 31분
85강 [250303_03] 85강「선박교통관제에 관한 법률」p753~762 강의시간 31분
86강 [250303_04] 86강 제9장 해양경찰 환경관리론 p763~784 강의시간 47분
87강 [250303_05] 87강「해양오염방제」p784~806 -종강- 강의시간 31분

수강후기

0

0

수강 후기
NO 평점 제목 작성자 등록일 조회수